충남 서산시 등 10개 시.군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자료출처 : 건설교통부    등 록 일 : 2005-06-24
건설교통부는 6월23일 중앙도시계획위원회를 개최하여 충남 서산시, 금산군, 부여군, 청양군, 홍성군, 예산군, 태안군, 당진군 등 8개 시군 4,509.676㎢(1,364.15백만평)과 전남 신안군, 무안군 등 2개 군의 일부 지역 665.507㎢(201.31백만평)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기로 하였다.

---------------------------------------------------------------------------
충남 지역(4,509.676㎢)
---------------------------------------------------------------------------
행정구역 | 서산시, 금산군, 부여군, 청양군, 홍성군, 예산군, 태안군,
         | 당진군 (1시 7군)
---------------------------------------------------------------------------
용도지역 | 도시관리계획상 주거.상업.공업지역을 제외한 ‘도시지역내 녹지지역
         | 및 용도미지정 지역과 도시지역외의 지역’
---------------------------------------------------------------------------
지정기간 | 2005년 7월2일 ~ 2008년 2월16일 (2년8개월간)
---------------------------------------------------------------------------
---------------------------------------------------------------------------
전남 지역(665.507㎢)
---------------------------------------------------------------------------
대상지역 | 신안군(압해면의 기 지정지역 제외), 무안군 해제면
---------------------------------------------------------------------------
용도지역 | 도시관리계획상 주거.상업.공업지역을 제외한 ‘도시지역내 녹지지역
         | 및 용도미지정 지역과 도시지역외의 지역’
---------------------------------------------------------------------------
지정기간 | 2005년 7월2일 ~ 2009년 8월20일 (4년2개월간)
---------------------------------------------------------------------------

충남의 8개 시군은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사업, 서해안지역 각종 개발계획 등의 영향권내에 있다고 판단되는 지역들이며, 전남의 2개 시군은 기업도시 등을 포함한 각종 개발계획의 추진이 거론되는 지역이다.

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 해당 지역에서 토지거래를 하고자 하는 자는 실수요목적임을 소명하여 관할 시.군.구의 토지거래계약 허가를 받아야 된다.

충남지역은 그 동안의 높은 지가상승률이 지속되어 왔으며, 행정중심복합도시의 본격적인 추진에 따라 향후 지속적인 지가상승이 우려되어 허가구역을 확대 지정하게 되었다.

전남의 경우 신안군은 지난 2003년 10월 압해면의 신도시 건설예정지가 허가구역으로 지정된 데 이어, 이번에 나머지 전지역이 지정되었다.

무안군은 2004년 4월 일로읍, 삼향면의 남악신도시 건설예정지가 허가구역으로 지정되었고, 2005년 3월에는 기업도시 추진지역인 무안읍, 청계면, 망운면, 운남면, 현경면 5개 읍면이 지정된 데 이어, 이번에 그 연접지역인 해제면이 추가 지정되었다.

전남 신안군 및 무안군의 경우 각종 개발계획이 추진중인 지역인데다 최근 구체적으로 확정되지 않은 추가적인 개발계획에 대한 소문으로 투기의 성행이 우려되고 있다.

실제로 지가상승의 예고지표라고 할 수 있는 ‘외지인 토지거래량’이 5월중에 작년 동월대비 신안군은 214%, 무안군 해제면은 727%까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지정으로 전국의 허가구역은 종전 전국토의 15.8%(15,751.37㎢, 4,764.8백만평)에서 20.9%(20926.55㎢, 6,330.28백만평)로 확대되었다.

건설교통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전국 주요지역의 토지시장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투기가 우려지역에 대해서는 추가로 허가구역으로 지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들 신규 지정지역에 대한 토지거래계약 허가제는 관보 공고 등의 절차를 거쳐 7월2일(예정)부터 시행되게 된다.

<첨부> 1.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현황
2. 토지거래허가제 관련 문답자료
3. 위치도

보도자료(0623)-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최종).hwp
위치도 (전남).hwp
위치도 (충남).hwp